Description
About me
I would like to arouse the existence of the vulnerable "children" by imitating and reconstructing parts of the child's body and the clothes and objects used by the child with dry clay.
The ongoing <Hide and Seek> series started by discovering the appearance of alienated children in the fragility of dry soil.
I focus 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properties of clay, which cracks and crumbles when dried, and the wounded children. And I focus on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at can be created through the properties of weak clay.
In my work, parts of a child's body or objects with traces of a child appear. A lonely pair of sneakers, small hands holding crayons, feet crouched in the corner, a sock lying on the floor... A child's hands, legs, cheeks, buttocks and clothes that seem to come out of the wall and the floor metaphorize a certain child beyond the wall.
My works are placed in low or high places where light does not reach, places where eyes cannot easily reach, and places where you must look closely. These are sometimes hidden outside the exhibition hall. You don't know how many all my works are. Since my works made of dry clay, which are easily damaged, are hidden, they may be crushed or broken by the mistake of the audience.
Some children in our society are also hidden from view like my work. These children do not exist only in certain places. They exist both inside and outside the exhibition hall, even in the eyes of the audience and beyond, and they require careful attention. I hope that the hide-and-seek with children, which started at the exhibition hall, will continue outside the exhibition hall and in the daily life of the audience.
Work / Education
나는 건조된 점토로 아이의 신체 일부분이나 아이가 사용했을 의상과 물건들을 모방하고 재구성함으로써 사회적 약자인 “아이”의 존재를 환기하고자 한다.
현재 진행 중인 <숨바꼭질> 시리즈는 마른 흙의 연약함에서 소외된 아이들의 모습을 발견하며 시작했다. 건조되었을 때 깨지고 바스러지는 점토의 물성과 상처입은 아이들 사이의 유사성, 그리고 약한 점토의 물성을 통해 만들어낼 수 있는 관객과의 소통에 집중한다.
나의 작업에는 아이의 전부가 아닌 일부, 혹은 아이들의 흔적이 묻은 물건들이 등장한다. 덩그러니 놓인 운동화, 크레파스를 쥔 작은 손, 구석에 웅크린 발, 바닥에 놓인 양말 등.. 벽과 바닥에서 나오는 듯한 아이의 손이나 다리, 뺨, 엉덩이와 옷가지 등은 벽 너머의 어떤 온전한 아이를 은유한다.
나의 작업은 불빛이 닿지 않는 낮거나 높은 곳, 시선이 쉽게 닿지 않는 곳, 들여다 보아야만 하는 곳에 놓여진다. 이들은 때때로 전시장 바깥에 숨겨지기도 한다. 전부 몇 가지나 있는지 알 수도 없고, 손상되기 쉬운 마른 점토로 이루어진 나의 작업들은 이렇게 숨겨진 탓에 관객의 실수로 부스러지거나 깨지기도 한다.
우리 사회의 몇몇 아이들 또한 나의 작업처럼 보이지 않는 곳에 은폐된다. 이러한 아이들은 특정한 장소에만 존재하지 않는다. 전시장 안에도 바깥에도, 나아가 관객의 시선 속에도 그 너머에도 존재하며 신중한 관심이 필요하다. 전시장에서 시작된 아이들과의 숨바꼭질이 전시장 바깥의, 관객들의 일상 속에서도 이어지게 되길 바란다.
2021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 졸업(MFA Hongik University)
2018 홍익대학교 학사 졸업(BFA Hongik University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