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cription
산소가 생겨나는 과정에 영감을 받아 작업했다.
북극에 있는 빙하가 수천 톤 깨진다. 규조류들은 바닷속에 떨어진 빙하들을 먹는다. 규조류들이 죽으면 점층적으로 쌓여 물에서 땅으로 변한다. 그 땅은 건조하기때문에 땅이 갈라지고, 바람의 영향으로 황사를 일으켜 열대우림 쪽으로 날아간다. 그렇게 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식물이 생겨나고 자라며 더 큰 열대우림을 만듦으로써 산소가 형성한다. 만들어진 산소는 대기속으로 상승하여 지구를 보호하는 오존으로 변하고, 이 오존층의 보호로 또다시 미생물이 생겨난다.
이렇듯, 순환이다. 순환을 강조하기 위해 전체적인 형태를 ‘0’으로 잡았다. 그리고 그것을 식물로 표현하였고, 미생물부터 시작하는 것을 담기 위해 뿌리 쪽과 식물 줄기를 미생물로 표현하였다.
북극에 있는 빙하가 수천 톤 깨진다. 규조류들은 바닷속에 떨어진 빙하들을 먹는다. 규조류들이 죽으면 점층적으로 쌓여 물에서 땅으로 변한다. 그 땅은 건조하기때문에 땅이 갈라지고, 바람의 영향으로 황사를 일으켜 열대우림 쪽으로 날아간다. 그렇게 하여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식물이 생겨나고 자라며 더 큰 열대우림을 만듦으로써 산소가 형성한다. 만들어진 산소는 대기속으로 상승하여 지구를 보호하는 오존으로 변하고, 이 오존층의 보호로 또다시 미생물이 생겨난다.
이렇듯, 순환이다. 순환을 강조하기 위해 전체적인 형태를 ‘0’으로 잡았다. 그리고 그것을 식물로 표현하였고, 미생물부터 시작하는 것을 담기 위해 뿌리 쪽과 식물 줄기를 미생물로 표현하였다.